📌 요약
|
왜 카드뉴스 제작에 GPT를?
홍보 리포트(부록①)를 작성하다 보면, 그중 일부는 카드뉴스로 만들면 효과적인 아이템이 됩니다. 하지만 카드뉴스는 단순 요약이 아닙니다.
- 짧고 임팩트 있는 문구
- 시리즈 전체의 톤과 정체성
- 시각적 통일성을 유지할 이미지 가이드
이 세 가지를 동시에 잡아야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혼자 작업할 때는 매번 문구를 새로 고민해야 하고, 시각적 톤이 흔들리기 쉽습니다. 그래서 GPT를 카드뉴스 제작 보조 파트너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GPT와 카드뉴스 제작 기준 만들기
처음에는 “이 기사로 카드뉴스 문구를 뽑아줘”라고 단순히 요청했지만, 결과물이 들쭉날쭉했습니다.
그래서 GPT와 대화를 거듭하며 카드뉴스 제작 기준을 만들었습니다.
- 톤과 문체: 짧고 간결, 긍정적, 전문성 유지
- 구성 원칙:
① 성과 강조 (첫 장)
② 배경 설명 (중간 장)
③ 시각적 키 메시지 (마지막 장) - 공통 문구: 시리즈 전체에 들어가는 태그라인, 통일된 표현
- 이미지 가이드: 각 장에 맞는 Canva 프롬프트 포함 (개인적으로 canva를 사용중입니다. )
이 기준을 마련한 뒤에는 기사나 성과 내용을 붙여넣고, “위 기준대로 카드뉴스 문구와 이미지 가이드 작성해줘”라고 요청하면,
바로 활용 가능한 초안을 뽑아낼 수 있었습니다.
실제 활용 루틴
- 홍보 리포트에서 카드뉴스 아이템 선별
- GPT에게 기사 요약 + 카드뉴스 기준 적용 요청
- GPT가 제안한 문구 초안 + Canva 이미지 프롬프트 확인
- 필요시 문구 수정 후 Canva에서 이미지 제작
- 카드뉴스 완성 → 공유
이 과정을 통해 카드뉴스 제작 시간이 절반 이하로 단축되었고, 무엇보다 시리즈 전체가 같은 톤과 스타일을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 실전 프롬프트 예시
아래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카드뉴스 초안을 작성해줘.
조건:
① 짧고 간결한 문구 (장당 15자 이내)
② 총 4장 구성 – 성과 강조 / 배경 설명 / 시각적 메시지 / 마무리
③ 시리즈 톤은 긍정적·전문적
④ 각 장마다 Canva 이미지 프롬프트도 함께 제시
마치며
카드뉴스 제작 보조 사례는 **홍보 리포트 자동화(부록①)**의 자연스러운 확장입니다.
GPT는 단순히 기사를 요약해주는 도구가 아니라, 문구·톤·시각 요소까지 함께 설계하는 콘텐츠 제작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험은 시리즈 **2편(사용자 지침)**과 4편(음성 루틴), **7편(시스템화)**에서 다룬 핵심 포인트와 이어집니다.
즉, GPT에 명확한 지침을 주고 반복 가능한 구조를 만들면, 업무 자동화 → 홍보 리포트 → 콘텐츠 제작까지 이어지는 일관된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죠.
앞으로는 카드뉴스뿐 아니라, 블로그 글 요약본, SNS 포스트, 심지어 교육 자료까지 GPT와 함께 제작하는 확장도 가능할 것입니다.
"GPT 활용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들을 확인해보세요~"
🔎관련 글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 GPT 활용 시리즈 0편 – 챗GPT, 검색엔진을 넘어 진짜 파트너로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 GPT 활용 시리즈 0편 – 챗GPT, 검색엔진을 넘어 진짜 파트너로
📌 요약대부분은 여전히 GPT를 검색엔진처럼만 사용하지만 GPT는 대화의 맥락을 이어가며 발전하는 협업 파트너단일 세션을 넘어 여러 대화에서도 중요한 기억을 불러올 수 있음이번 시리즈는 G
idea-104.com
🔎관련 글 : GPT 활용 시리즈 부록 – 실전예시① 반복적인 리포트, GPT로 자동화하기
GPT 활용 시리즈 부록 – 실전예시① 반복적인 리포트, GPT로 자동화하기
📌 요약반복 리포트는 GPT와 대화로 작성 기준을 설계해 두면 매번 지시하지 않아도 됨맥락을 기억시켜 일관성 있는 리포트 생산 → 작성 시간 단축동시에 홍보 콘텐츠 아이디어 발굴의 원천으
idea-104.com
🔎관련 글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 GPT 활용 시리즈 2편 – ‘사용자 지침’이 답을 바꾼다: 설정의 힘(대화 내 지침 · 커스텀 GPT · 개인 맞춤 설정)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 GPT 활용 시리즈 2편 – ‘사용자 지침’이 답을 바꾼다: 설정의
📌 요약같은 질문이라도 지침을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집니다.지침은 크게 ① 대화 내 지침 ② 커스텀 GPT ③ 개인 맞춤 설정(메모리/선호), 이 세 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idea-104.com
🔎관련 글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GPT 활용 시리즈 4편 – 누구는 잘 쓰고, 누구는 못 쓴다: 활용 격차의 이유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GPT 활용 시리즈 4편 – 누구는 잘 쓰고, 누구는 못 쓴다: 활용 격차
📌 요약격차는 프롬프트 문장력보다 문제 정의·시나리오 설계·습관에서 벌어집니다.잘 쓰는 사람은 “무엇을 왜 하는가(목표)→어떻게 증명할 것인가(기준)”를 먼저 고정합니다.앵커(핵심적
idea-104.com
🔎관련 글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 GPT 활용 시리즈 7편 – GPT를 ‘나만의 업무 파트너’로 만드는 3단계 전략
[GPT, 그냥 쓰면 10%, 잘 쓰면 100%] GPT 활용 시리즈 7편 – GPT를 ‘나만의 업무 파트너’로 만드는 3
📌 요약GPT를 꾸준히 쓰는데도 품질이 들쑥날쑥하다면, 문제는 기능이 아니라 운용 방식일 때가 많습니다. 이번 GPT 활용 시리즈 마지막편의 목표는 산발적 사용을 끝내고 반복 가능한 시스템으
idea-104.com